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방법, 지원 조건, 신청 절차, 서류 준비, 자주 묻는 질문까지 완벽 정리.
청년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정부 지원 제도!
요즘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복지가 있습니다. 바로 청년 내일채움공제입니다.
"취업은 했지만 모을 돈이 없다"는 고민, 이제 청년 내일채움공제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정부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이 제도는 월급만으로는 부족한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죠.
하지만 신청 과정이 생각보다 복잡하다는 이유로 시작조차 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
오늘 이 글에서 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방법을 쉽고 빠르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2025년 최신 기준을 반영했으니, 처음 알아보는 분들도 끝까지 읽으면 바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청년 내일채움공제란?
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중소·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 근속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입니다.
제도 개요
- 가입 기간: 기본 2년
- 청년 본인 납입금: 매월 약 12.5만 원
- 정부·기업 지원금: 기업 400만 원, 정부 900만 원 지원 (2025년 기준)
- 최종 수령 금액: 약 1,600만 원 + 이자 (세후)
지원 대상
- 청년: 만 15세 ~ 34세 이하 (군필 시 최대 39세까지 가능)
- 기업: 고용보험 가입 중소·중견기업
이렇게 본인의 월 납입금 외에도 기업과 정부가 추가로 지원해 주어 2년 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.
2025 청년 내일채움공제 지원 조건
가입을 원한다고 모두 신청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. 아래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연령 기준
- 신청일 기준 만 15세 이상 ~ 34세 이하
- 군필자의 경우 복무 기간만큼 추가 인정 (최대 39세)
고용 형태
- 정규직 채용 필수
- 6개월 이내의 수습 기간은 가능
기업 조건
-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
- 5인 이상 기업 (일부 제외 업종 가능)
신청 자격
- 청년 본인의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총 12개월 이하 (계속 근로 기준)
- 이전 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이력이 없을 것
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방법
신청 절차는 다소 단계가 많지만, 순서대로 따라 하면 어렵지 않습니다.
1단계: 고용24 구직 등록
- 고용24 바로가기
- 구직신청 필수 → 취업 후에도 등록 이력이 있어야 지원 가능
고용24_개인
www.work24.go.kr
구직신청 접속 후 신청하기!!
2단계: 청년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접속
- 청년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
- 기업과 함께 신청 절차 진행
청년내일채움공제
미취업 청년의 중소기업 유입을 촉진하고,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´16년 7월부터 시행
www.sbcplan.or.kr
3단계: 신청서 작성
- 공제 가입 신청서
- 근로계약서
- 고용보험 가입 이력 확인서
내일채움공제
'중소기업기본법上의 중소기업으로 부동산업, 주점업(일반유흥 주점업, 무도유흥 주점업 및 기타 주점업), 기타 갬블링 및 베팅업, 무도장 운영업 등을 제외한 종업원 1인이상의 기업
www.sbcplan.or.kr
4단계: 기업 확인 및 승인
- 신청 후 기업 담당자가 승인
- 지역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심사
5단계: 최종 확정 및 계좌 개설
- 공제 전용 계좌 개설 후 매월 자동이체 시작
신청 시 유의사항
- 취업 후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함
- 6개월이 지나면 신청 불가
청년 내일채움공제 자주 묻는 질문
Q. 중도 퇴사 시 어떻게 되나요?
본인이 중도 퇴사하면 본인이 납입한 금액만 돌려받을 수 있고, 기업과 정부 지원금은 반환해야 합니다.
단, 비자발적 퇴사의 경우 일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. 기업 변경이 가능한가요?
불가합니다. 내일채움공제는 ‘첫 회사’ 기준이기 때문에 이직 시 기존 공제는 해지 처리됩니다.
Q. 만기 해지 시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?
청년 본인 납입금 + 기업 지원금 + 정부 지원금 + 이자를 모두 수령하게 됩니다.
2년 기준 약 1,600만 원 이상이 목돈으로 지급됩니다.
청년 내일채움공제 꿀팁
✅ 최대 수령 전략
- 출근일과 계약일을 잘 확인하세요. 입사일이 늦어질 경우 신청 기한을 놓칠 수 있습니다.
- 6개월 내 신청 필수! 근로계약서 작성 즉시 준비 시작하세요.
✅ 중복 지원 가능한 청년 지원금
- 청년희망적금: 목돈 저축 병행 가능
- 청년도약계좌: 장기 저축 시 추가 지원
- 청년전용 내일배움카드: 직무 교육 지원 가능
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청년희망적금,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신청이 가능하므로 함께 준비하면 자산 형성 효과가 더욱 큽니다.
✅ 가입 시 주의사항
- 가입 신청 후 중도 퇴사 시 불이익 발생
- 정부 지원금은 본인이 아닌 기업 퇴사 처리에 따라 다를 수 있음
- 청년 본인의 고용보험 이력 12개월 초과 시 신청 불가
결론 -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손해입니다
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입 기회를 잃을 수 있는 한정형 복지 제도입니다.
취업 초기, 6개월 안에 반드시 신청해야 하며, 목돈 마련의 가장 빠른 방법 중 하나입니다.
지금 바로 워크넷에 구직 등록 후 청년 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하세요.
청년희망적금, 청년도약계좌 등 다른 지원금 제도도 함께 알아보시면 더욱 유리합니다.